새마을운동 기록물

The Archives of Saemaul Undong

개요

새마을운동 기록물
The Archives of Saemaul Undong

새마을운동중앙회 사무총장 이명식


1970년 새마을가꾸기로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농촌의 획기적인 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 소득증대 등에 기여했다. 또한 빈곤극복과 지역사회공동체 회복, 국가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주민의 자발적 참여는 그 동기를 유발하는 유인이 제공 되었기에 가능했는데 그 방법으로서 정부가 새마을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속사업을 지원하는 ‘우수마을 우선지원’원칙이었다. 이는 새마을사업에 열심히 참여하고 노력을 투입하였을 때 보상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일례로 새마을운동 초기 마을주민들은 자기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협동하고, 정부는 마을안길 확장, 교량건설, 상하수도 건설 등 마을 공동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업에 사용될 시멘트와 철근 등의 원자재를 무상으로 지원하였다. 이후 평가를 통해 추가지원이 이루어 졌다. 일부 주민들은 마을 발전을 위해 자신의 시간과 노력 외에도 새마을사업에 사용할 토지를 희사하기도 하였다.

마을주민, 공무원, 지역사회 지도자, 학계 등 사회 각계각층의 새마을운동 추진 의지를 불태운 또 다른 방법은 새마을교육이었다. 독농가연수원으로 시작된 새마을지도자연수원은 근면(勤勉), 자조(自助), 협동(協同)의 새마을정신교육, 생활교육과 실천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분임토의와 다짐을 통해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키고 새마을운동의 성과를 이끌어냈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 추진 당시 마을 단위에서 수집한 새마을운동 관련 자료들을 보면 새마을운동 추진에 있어 마을주민들의 역량과 자주성을 증명하는 증거들이 확인되고 있다. 마을주민들은 주민총회를 통하여 새마을사업을 선정하는 등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했다. 이러한 주민들의 자율적·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은 여성의 참여, 주민간 신뢰 및 공동체의식, 그리고 주인의식을 함양함으로써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축적에 일조하였다.

새마을운동은 거버넌스(governance) 측면에서도 설명 될 수 있다. 1970년대 국가차원의 중앙정부로부터 도, 군, 읍·면 등의 지방정부와 마을단위에 이르기까지 새마을사업에 대한 점검제도가 체계적으로 운용되었는데 이러한 체제는 민(民)-관(官)의 상호 이해, 상호 책임의식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2013년 6월 18일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제11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는 새마을운동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것을 유네스코에 권고 했고, 유네스코는 등재를 결정했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이 1970년부터 1979년까지 추진한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 새마을지도자와 마을주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등에서 생산된 새마을운동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을 일컫는다. 정부 기관에서 생산한 자료들은 국가기록원에서 보존하고 있고, 새마을지도자와 마을주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등에서 생산한 자료들은 새마을운동중앙회에서 보존하고 있다. 그리고 아직도 전국 각지에는 수집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새마을운동 기록물이 있어 새마을운동중앙회는 현재도 수집활동을 펼치고 있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은 1970년대 전국 34,000여개의 마을에서 전개된 농촌근대화에 관한 종합적 기록이다. 이 기록물에는 빈곤퇴치, 마을환경 개선, 새마을정신개발, 농촌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주민들의 리더십 개발 등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은 빈곤퇴치와 농촌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국제개발기구와 개발도상국가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새마을운동은 한국이 세계 10대 경제대국이 되는데 기여한 초석이자 인류사의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유엔세계식량계획(WFP; World Food Programme)과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등은 새마을운동을 빈곤퇴치모델로 채택하였다.

현재 새마을운동중앙회는 대한민국 국민과 개발도상국을 비롯한 해외의 새마을운동 관계자들이 새마을운동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다.